창작론

게임 스토리에 끼얹지 말아야 되는 평행세계 전개 유형

박 사서 2025. 2. 9. 00:08

평행세계 전개를 올바로 쓴 게임들

 

평행세계란 말을 들어본 게이머들 중엔 어느 게임이 평행세계 전개 보였다고 욕한 이들도 많을 것이다. 

그런데 평행세계 전개가 무슨 형태로든 게임에 쓰이면 안 되는 것일까? 

물론 아니다. 

게임을 몇 버전으로 나눠 내는 것, 타 게임 리메이크, 게임 켰을 때부터 하게 만드는 플블캐 커마 등이 게임에 쓰여도 되는 평행세계 전개다. 

이번엔 그렇지 않은 평행세계 전개 유형을 살펴보자. 

 

 

 

 

 

1. 특정 캐릭터의 역할 및 과거를 바꾸는 전개 

 

 

게이머가 고른 플블캐에 따라 볼 수 있는 캐릭터 자체나 그 과거를 바꾸는 전개다. 

이성 플블캐를 NPC로 쓴 포켓몬 게임들이 그 대표적인 예시. 

특히 B2W2 버전은 라이벌이 진작부터 알까서 키운 포켓몬을 게이머가 고른 스타팅에 따라 바꾸는 게임이다. 

게이머나 플블캐의 선택에 따라 달라져야 되는 건 타 캐릭터의 반응이지 이와 무관한 과거가 아니다. 

 

 

 

 

 

2. 특정 캐릭터를 등장시키지 말아야 될 때 등장시키는 전개  

 

 

특정 장소에 있을 수 없는 캐릭터를 그곳에 등장시키는 전개다. 

평행세계 전개보다는 설정오류에 가깝지만. 

뉴슈마서 대포로 특정 월드에 가도 쿠파주니어가 피치와 함께 등장하는 것 역시 이런 식으로 말이 안 되는 것이다. 

 

 

 

 

 

3. 특정 캐릭터를 어느 시점으로 등장시키지 않는 전개 

 

 

이렇다 할 설명 없이 특정 캐릭터가 어느 시점에 안 나오는 전개다. 

마리오 형제 중 한 명만 뉴슈마의 오프닝에 나오는 것도 따지고 보면 아군 자체를 등장시키지 않는 전개. 

다만 뉴슈마는 오프닝을 누구로 보든 나머지 한 명으로도 아무 스테이지나 밀 수 있게 만들었다. 

가장 나쁜 시나리오는 역시 한 편을 깨는 내내 특정 캐릭터를 못 보는 것. 

일례로 사냥터지기 2시즌은 볼프강 시점, 루나 시점, 소마 시점에 다른 플블캐를 등장시키지 않았다. 

특히 루나나 소마가 흑지수를 찾을 땐 1분대가 독일에 돌아가서 안 나온 거란(...) 황당한 설명까지 들을 수 있다. 

 

 

 

 

 

4. 특정 사건을 어느 시점에 넣지 않는 전개 

 

 

특정 캐릭터가 분명히 겪은 일을 그 시점에 넣지 않는 전개. 

특정 캐릭터의 역할이나 과거를 바꾸는 전개와 비슷하지만 다르다. 

검늑 2시즌은 미스틸테인이 데이비드 리에 세뇌되는 걸 미스틸테인 시점으로, 레비아가 흑화한 걸 레비아 시점으로 볼 수 없게 했다. 

이래놓고 미스틸테인이 제어코드의 영향을 아예 안 받게 됐다는 묘사를 3시즌의 미스틸테인 시점에 넣는 식이다.